문화연구

[스크랩] [대중문화란 무엇인가]-Storey, John(2002)

ycsj 2009. 8. 23. 08:50

 

<!-BY_DAUM->

1.대중문화란 무엇인가

대중문화의 일반적인 개념적 지도

*.존재하거나/존재하지 않는 다른 것들, 즉 상대개념의 작용

대중문화 : 민속문화, 대량문화 mass culture, 지배문화, 노동계급 문화 등

*대중문화란 사실상 ‘속이 텅 비어 있는’ 개념적 범주, 빈 그릇과도 같은 것

 

1)문화

0.레이먼드 윌리엄즈 Raymond Williams: “영어 단어 중에서 가장 난해한 몇 단어 중 하나”

가.“지적, 정신적 심미적 능력을 계발하는 일반과정”

나.“한 인간이나 시대, 혹은 한 집단의 특정한 생활방식”

다.“지적 산물이나 지적 행위, 특히 예술활동을 일컫는다.”

‘의미를 나타내는 실천행위’signifying practices

 

2)이데올로기

0.“이데올로기라 말하면 무언가 남는 것 같고 또 문화라고 말하면 무언가 모자라는 것 같다.” (스튜어트 홀 Stuart Hall) ** 여기에서 홀이 지적하는 개념 공백은 물론 정치이다.(3)

0.대중문화 연구와 관련된 이데올로기의 다섯 가지 의미 ###

가.특정 집단에 의해 부각되는 조직적인 사고체계: ‘직업적 이데올로기’, ‘노동당의 ..’

나.일정한 눈가림이나 왜곡, 은폐. ‘허위의식 false consciousness’,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다.여러 ‘이데올로기 형식들’을 일컫는 용어: 텍스트들(텔레비전 픽션이나 대중가요, 소설, 영화 등)은 언제나 세상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인다.

대중문화는 “집합적으로 사회를 이해하는” 장이다.(스튜어트 홀)

대중문화는 ‘의미작용의 정치 the politics of signification’이다.

라.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마.롤랑 바르뜨의 초기 연구와 관련된 이데올로기의 정의: 이데올로기(신화)는 어떤 함축적 의미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함축적 의미를 만들기 위한 헤게모니 투쟁

0.문화와 이데올로기가 공유하는 개념영역이 무척 크다.

차이점 : 이데올로기가 공통 영역 내에 정치적 차원을 도입하고 있다.

이데올로기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문화/이데올로기의 영역이 불가피하게 권력과 정치관계에 의해 규정된다는 사실이다.

 

3)대중문화

0.대중적 popular (윌리엄즈):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열등한 작품들”, “사람들의 선호에 일부러 맞춘 작품들”, “사람들이 사실상 자신들을 위해 만들어낸 문화”,

0.대중문화

가.많은 사람들이 폭넓게 좋아하는 문화

나.고급문화라고 결정된 것 이외의 문화를 모아보는 것 (잔여 범주), 기준 이하의 문화

대중문화가 대량 상업적 문화인 데 반해 고급문화는 개별적인 창조활동의 결과

다.대량문화

집단적 꿈의 세계, “우리 자신의 상상적 자아도피” (리처드 말트비 Richard Maltby) 집단적 소망과 욕망을 위장된 형태로 표현, “대중문화의 죄가 우리의 꿈을 빼앗아서 그것을 다시 포장하여 우리에게 되판 것이라면, 대중문화의 공로는 그것이 없었다면 결코 알 수 없었을, 더 많고 다양한 꿈들을 가져다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Maltby)

*.구조주의 : 대중문화를 지배이데올로기를 쉽게 재생산해내는 이데올로기의 제조기

라.‘민중 the people’으로부터 발생되는 문화: 민속문화로서 대중문화

마.안토니오 그람시의 정치적 분석, 특히 그의 헤게모니 개념의 전개에서 나온 것.

헤게모니 : 지배계층들이 ‘지적이고 도덕적인 리더십’의 과정을 통해 피지배계층들의 동의를 얻어내는 것

*.대중문화의 이론들은 사실은 ‘민중’의 구성에 대한 이론이라는 주장

바.포스트모더니즘 논쟁에 의해 소개된 것

포스트모더니즘 문화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분을 더 이상 인정하지 않는다

사.대중문화 : 산업화와 도시화에 뒤따라 일어난 문화

*윌리엄즈 <<문화와 사회>>의 서문

“문화라는 개념과 그 용어가 근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된 것은 흔히 우리가 산업혁명이라 부르는 시기에 영어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이 책의 주된 원칙이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깊은 연관

*.산업화와 도시화가 대중문화의 지형에서 문화적 관계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4)타자로서의 대중문화

대중문화라는 용어가 분명한 용어가 아니라는 점, 상대적 개념의 존재

“이 문제를 해결하는 단 하나의 ‘올바른’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의미와 영향을 가진 여러 해결책들의 시리즈만이 존재한다.”(토니 베네트)

*여러 가지 정의

대중문화를 무정부상태로 규정 (매튜 아놀드)

“서구에서 대중문화는 더 이상 지엽적인 것이 아니며 지하의 것은 더더욱 아니다. 언제나 그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단지 문화 그 자체이다.”(딕 헵디지 Dick Hebdige)

 

텍스트(대중소설, 텔레비전, 팝음악 등)에 대한 연구

살아있는 문화인 문화적 실천행위들(바닷가의 휴가, 청년문화, 크리스마스 휴일 등)

양자의 구분

 

 

좀더 구체적인 요약은 [임춘성 교수의 청송산방] 참조

http://community.freechal.com/ComService/Activity/PDS/CsPDSContent.asp?GrpId=458671&ObjSeq=28&PageNo=2&DocId=28605569

 

출처 : 중국의비판적문화연구
글쓴이 : ycsj 원글보기
메모 :